새로운 HTTP 코드 451은 무슨 뜻일까?

1 min read

새로운 HTTP 상태 코드

2015년 12월 18일 IETF의 의장인 Mark Nottingham은 자신의 트위터블로그를 통해서 451 상태코드가 승인된것을 알렸습니다.
451 상태 코드는 "법적인 이유로 사용할 수 없음"를 알리는 상태 코드입니다.


한국, 중국, 러시아는 국가가 판단하여 자유로운 인터넷에서 규제를 하고 있습니다.
이 상태 코드가 반환된다는 것은 우리에게 친숙한 warning.or.kr 페이지를 보여지게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위와 같은 페이지 대신 451 코드를 사용하자는 취지이며 검열하는 국가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노력으로 보입니다.


451이란 숫자는 책이 금지된 미래의 모습을 그린 SF소설 화씨451(Fahrenheit 451)에서 가져왔다고 합니다.
그리고 새로운 코드가 승인되었다는 해외 언론 보도에 관련된 국가로 한국이 포함된것이 안타깝네요.

마지막으로 HTTP 451가 표시되는 구체적인 예로 안보 위험으로 간주되는 웹 페이지, 저작권 침해, 사생활 침해, 불경죄, 기타 법이나 ​​법원 명령에 위반하는 웹 페이지를 포함한다고 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함께보기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함께보기



관심 있을 만한 글

  • 윈도우용 파이어폭스 64비트 개발자 에디션이 나왔다.(64bit Firefox developer edition for windows) 그동안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아 개인 프로젝트로 64비트 컨버팅 버전들이 나왔지만 아쉬운 부분들이 있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더욱 방가운 소식이다. 모질라는 파이어폭스 10주념을 기…
  • DISQUS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HTTP에서 HTTPS 지원을 시작했다면 확인해야 될 설정이 있습니다. DISQUS 는 HTTP와 HTTPS를 각각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코멘트 정보가 공유되지 않기 때문에 HTTPS로 접근 시 기존 코멘트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마이그레이션 툴로 URL 매칭하기DISQUS 는 이런 경…
  • 새로운 HTTP 상태 코드 2015년 12월 18일 IETF의 의장인 Mark Nottingham은 자신의 트위터와 블로그를 통해서 451 상태코드가 승인된것을 알렸습니다. 451 상태 코드는 "법적인 이유로 사용할 수 없음"를 알리는 상태 코드입니다. 한국, 중국, 러시아는 국가가 판단하여 자유로운 인터넷…
  • 구글이 운영하는 Blogger가 개인 도메인도 무료로 HTTPS 지원을 시작했습니다. 간단한 사용 설정으로 Let's Encrypt 서비스를 이용한 SSL 지원인데요. HTTP 접근 시 HTTPS로 리디렉션도 지원합니다. 인증서 화면 HTTPS 지원 전에는Let's Encrypt 서비스는 웹호스팅 혹은 서버가 있어…
  • 구글 웹마스터(Google Webmasters)는 구글이 사이트에 대한 분석과 검색 노출 정보를 종합적으로 알려주는 서비스입니다. 검색엔진마다 웹마스터라는 이름으로 자신들이 분석한 사이트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구글이 가장 많은 정보와 기능을 제공합니다. 국내 대표 검색엔진인 네이버는 아직 걸음마 수준이며 다음은…
  • 한국의 보안 취약점 신고 포상제를 운용하는 기업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보안 취약점 신고 포상제"는 취약점을 찾아서 악용하지 않고 기업에 알려주면 감사의 뜻으로 신고자에게 일정 금액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다국적 기업인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페이스북 등 많은 곳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자칫하면 큰 손실을…
대화 참여하기

댓글 쓰기